새소식

앱개발(JS)

앱개발 학습. 조건문, 반복문

  • -
728x90

C#, Python으로 코딩을 먼저 배웠다보니, Javascript의 작성 스타일이 조금 불편하다.

왜 함수 시작의 중괄호를 줄바꿈 없이 작성하는가.

찾아봐도 모르겠는데, 배우다보면 이런 스타일로 작성하는 이유를 알게 되지 않을까 싶다


기본제공 함수 찾는 방법

  • javascript split 검색 후 MDN 문서를 확인

조건문

  • 90보다 작으면 작다고, 크면 크다고 알려주는 함수
  • if, else if, else 순으로 작성
function is_adult(age)
{
	if ( age > 20 )
    {
    	alert('성인이예요') // 팝업
    }
    else
    {
    	alert('청소년이예요')
    }
}
is_adult(25)
  • and 조건(&&)
function is_adult(age, sex) {
    if (age > 20 && sex == '여') {
        alert('성인 여성');
    } else if (age > 20 && sex == '남') {
        alert('성인 남성') 
    } else {
        alert('청소년이예요')
    }
}
  • or 조건(||)
function is_adult(age,sex) {
    if (age > 65 || age < 10) {
        alert('탑승하실 수 없습니다');
    } else if ( age > 20 && sex == '여') {
        alert('성인 여성')
    } else if (age > 20 && sex == '남') {
        alert('성인 남성'); 
    } else {
        alert('청소년이예요');
    }
}

반복문

  • 반복문 for
// for ( 1.시작조건 ; 2.반복조건 ; 3.더하기 ){ 4. 반복실행 }
// 1,2,4,3 순서로 실행
for ( let i = 0; i < 100 ; i++ ) {
	console.log(i);
}
let people = ['철수', '영희', '민수', '형준', '기남', '동희'];
for ( let i = 0 ; i < people.length ; i++) {
	console.log(people[i]);
}
  • 리스트와 딕셔너리 함께 활용
let scores = [
	{'name':'철수', 'score':90},
	{'name':'영희', 'score':85},
	{'name':'민수', 'score':70},
  {'name':'형준', 'score':50},
  {'name':'기남', 'score':68},
  {'name':'동희', 'score':30},
]

for (let i = 0 ; i < scores.length ; i++) {
	console.log(scores[i]);
}

// 이렇게 하면 리스트 내의 딕셔너리를 하나씩 출력할 수 있고,

 

for (let i = 0 ; i < scores.length ; i++) {
	if (scores[i]['score'] < 70) {
		console.log(scores[i]['name']);
	}
}

// 이렇게 하면 점수가 70점 미만인 사람들의 이름만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.

배열에서 특정 원소 갯수 구하기

  • 함수를 배워서 무조건 함수로 해야하나 했는데, 바로 포문으로 실행이 가능하다.
  • 내꺼
let fruit_list = ['사과','감','감','배','포도','포도','딸기','포도','감','수박','딸기']
let sum = 0;

function find_st() {
    for (let i = 0 ; i < fruit_list.length ; i++) {
        let fruit = fruit_list[i];
        if ( fruit == '딸기') {
            sum += 1;
        }
    }
}
find_st();
console.log(sum);
  • 해설
let fruit_list = ['사과','감','감','배','포도','포도','딸기','포도','감','수박','딸기']

let count = 0;
for (let i = 0; i < fruit_list.length; i++) {
	let fruit = fruit_list[i];
	if (fruit == '딸기') {
		count += 1;
	}
}
console.log(count);

미세먼지(IDEX_MVL)의 값이 40 미만인 구이름(MSRSTE_NM) 과 값을 출력하기

  • 시험삼아 명령문 뒤에 리스트를 선언해봤다.
    • message: "Uncaught ReferenceError: mise_list is not defined"
    • 레퍼런스 에러난다. JS에서는 리스트 먼저 선언 후 함수를 작성하자
let mise_list = [
    {... 생략    }]


  for( let i = 0 ; i < mise_list.length ; i++) {
    let mise = mise_list[i];
    if ( mise["IDEX_MVL"] > 40) {
        let gu_name = mise["MSRSTE_NM"];
        let gu_mise = mise["IDEX_MVL"];
        console.log("미세먼지 40 이하 구 : " + gu_name + gu_mise);
    }
}

 

Contents
  • -

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

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