새소식

NCP

[NCP-NCA] 3. (Compute) 서버 Operation 방안 소개

  • -
728x90

NCA 취득을 위한 아래 링크의 Edwith 강의 내용 요약

Mooc 강의로 무료제공되는 강의입니다

 

Associate Course(VPC Platform) 강좌소개 : edwith

- Naksoo Jung

www.edwith.org


  • 웹 콘솔
    • Ncloud 콘솔 이용한 오퍼레이션
    • NCP는 웹콘솔 Operation 기능은 100%
  • CLI
    • 별도의 CLI 툴을 설치하여 명령 프롬프트에서 오퍼레이션
    • Object Storage는 AWS CLI 를 이용하여 오퍼레이션
    • CLI Operation 기능은 60%
  • API
    • API를 이용하여 Operation 명령어 개발하여 사용(프로그램 만들어서)
    • S3의 경우 AWS API를 이용하여 오퍼레이션
    • API Operation 기능은 60%

Server Image / Snapshot / 유사서버

  • 서버를 만들고 마우스 우클릭하면 나오는 메뉴들
  • 서버 카테고리에서 보이는 메뉴들

서버 이미지

  • 백업의 개념 or 마스터본을 만든다
  • 백업의 문제는 백업 시점 이후 변화분에 대한 복구가 안됨
  • 깡통서버가 아닌 서버 이미지로 서버를 만들 수 있음
  • 마스터본은 오토스케일링에도 활용
  • 서버OS+ 추가볼륨 으로 가능하나 마스터본 만들때 추가볼륨은 떼고 작업 권장
  • 클래식에서는 서버끄고, VPC에서는 서버 켠 상태로 가능
  • 활용
    • 부팅 디스크 타입 변경시
    • 서버 타입 변경시
    • 리전 간 이미지 공유 시
    • 백업
    • 마스터 이미지

스냅샷

  • OS 볼륨, 추가 볼륨에 대해 스냅샷을 떠서 복구용도로 활용
  • 활용
    • 디스크 타입 변경(디스크 사이즈 변경 불가)
    • 리전 간 이미지 공유

유사 서버

  • 서버를 새로 만들 때 서버의 설정 부분만 이용해서 사로운 깡통 서버를 만들 때
  • 유사서버로 만들면 설정을 가져오지만 데이터는 없음

Server Image Builder

  • Packer(오픈소스 툴) 를 활용한 내서버이미지 생성 서비스
  • 이미지 디스크립션 파일(json)을 이용해 내버 이미지 생성 가능

Init Script

  • 서버 생성 시 실행(최초 1회)되는 스크립트를 지정
    • 서버에 설치할 패키지나 초기설정 내용을 스크립트로 선언하여 서버 초기화 빠르게 구성
    • Linux는 python, Perl, Shell
    • Windows는 Visual Basic으로 작성
  • 언제 사용?
    • 같은 용도 서버를 여러대 일괄 생성하는 경우
    • 동일한 서버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경우
    • 용도별로 서버 초기 환경 관리가 필요한 경우

ACG(Access Control Group)

  • 서버 방화벽 역할
  • Default ACG와 Custom ACG로 구분
  • 프로토콜은 TCP, UDP, ICMP 중 선택
  • 접근 소스는 IP(CIDR)
  • ACG Group 설정 가능
  • Classic 과 VPC 스펙이 다름

출처(갈무리) : https://www.edwith.org/associate-vpc/lecture/441815

추가 스토리지 구성

  • OS 영역은 50GB
  • 추가 스토리지는 스토리지당 10GB에서 2TB 까지 생성 가능
  • 단일 서버에 최대 15개 추가 가능
  • 2TB이상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
    • Linux는 LVM
    • Windows는 동적 디스크 할당으로 여러 디스크를 한 볼륨으로 묶을 수 있음
  • Detach/ Attach 기능 제공하여 다스크를 다른 서버로 옮길 수 있음
  • 사용중인 디스크 크기는 확장 가능(축소는 불가)
Contents
  • -

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

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.